영화 거미집 모자람도 지나침도 예술이다

2025. 3. 10. 15:00영화

SMALL

썸네일 거미집 스틸컷

 

1970년대, 검열이라는 시대적 굴레 속에서 걸작을 만들고자 고군분투하는 김감독과 배우들의 이야기를 그린 '거미집'은, 단순한 영화 제작기를 넘어 창작의 고뇌, 예술가의 열정, 그리고 인간 욕망의 복잡성을 유쾌하고도 씁쓸하게 담아낸 작품입니다. 예측불허의 스토리와 개성 넘치는 캐릭터, 그리고 김지운 감독 특유의 스타일리시한 연출까지, '거미집'의 매력을 지금부터 샅샅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영화 거미집 포스터
거미집 포스터

1. 영화 '거미집' 줄거리

김지운 감독의 영화 '거미집'은 1970년대, 며칠 뒤면 촬영이 끝나는 영화 ‘거미집’의 결말을 바꿔서 걸작을 만들겠다는 강박에 사로잡힌 감독 김열(송강호)의 이야기를 그립니다. 그는 꿈속에서 문득 떠오른 영감을 바탕으로 결말을 수정하면 영화가 훨씬 더 훌륭해질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검열, 제작사의 반대, 그리고 배우들의 혼란 속에서 김감독은 촬영을 강행하며 점점 더 미궁 속으로 빠져듭니다. 과연 김감독은 그의 꿈처럼 영화를 걸작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예측불허의 사건들은 무엇일까요? '거미집'은 한 감독의 예술적 열망과 그 이면에 숨겨진 인간적인 고뇌, 그리고 1970년대 영화 제작 현장의 풍경을 흥미롭게 담아낸 작품입니다.

 

영화 거미집 스틸컷 2
거미집 스틸컷 2

2. 영화 '거미집' 주요 장면 해석

'거미집'은 여러 인상적인 장면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특히 흑백과 컬러 화면의 대비, 꿈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 그리고 영화 속 영화라는 독특한 액자식 구성은 깊이 있는 해석의 여지를 남깁니다.

 

1) 흑백과 컬러의 대비

영화는 1970년대 영화 촬영 현장을 흑백으로, 촬영된 영화 ‘거미집’의 장면들을 컬러로 보여줍니다. 흑백 화면은 고전적인 영화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동시에, 현실과 영화 속 세계를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컬러 화면은 영화 속 인물들의 감정을 더욱 강렬하게 드러내고, 극적인 상황을 강조하는 효과를 냅니다. 이러한 흑백과 컬러의 대비는 영화와 현실, 꿈과 망상, 예술과 상업 등 영화 속 여러 대립적인 요소들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꿈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

 김감독은 꿈에서 영감을 얻어 영화 결말을 수정하려 합니다. 영화는 김감독의 꿈과 현실, 그리고 영화 속 영화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면서 관객들을 혼란 속으로 이끕니다. 예를 들어, 김감독이 꿈에서 본 장면이 현실에서 그대로 재현되거나, 영화 속 장면이 현실에 영향을 미치는 듯한 연출은 꿈과 현실의 구분을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모호함은 김감독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반영하는 동시에, 영화 자체가 현실과 허구의 경계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3) 액자식 구성과 숨겨진 의미

영화 <거미집>은 ‘영화 속 영화’라는 액자식 구성을 취하고 있습니다. 김감독이 촬영하는 영화 ‘거미집’은 그 자체로 하나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거미집'이라는 영화 전체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러한 액자식 구성은 이야기 속에 또 다른 이야기를 담아냄으로써, 층층이 쌓인 의미를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영화 속 영화 ‘거미집’의 내용은 현실의 김감독과 배우들의 상황을 은유적으로 반영하거나, 영화 제작 과정의 어려움과 예술가의 고뇌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복층적인 이야기 구조는 관객들에게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제공하며, 영화를 더욱 풍부하고 흥미롭게 만들어줍니다.

 

4) 거미 모티브의 의미

영화 속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거미 모티브는 단순히 영화 제목을 나타내는 것을 넘어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거미는 그물을 쳐서 먹잇감을 사로잡는 존재입니다. 이는 김감독이 ‘결말 수정’이라는 그물을 쳐서 영화를 걸작으로 만들려는 욕망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거미줄은 복잡하게 얽혀 있는 관계망을 연상시키기도 합니다. 영화 속에서 김감독과 배우들, 제작사, 검열 당국 등 다양한 인물들은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이들의 관계는 영화 제작 과정에 끊임없이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거미 모티브는 김감독의 욕망, 인물들의 복잡한 관계, 그리고 영화 제작의 예측 불가능성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영화 거미집 스틸컷 3
거미집 스틸컷 3

3. 영화 '거미집' 관객 및 평론가 반응

 영화 '거미집'은 관객과 평론가로부터 엇갈린 반응을 얻었습니다. 먼저 관객들의 긍정적 반응으로는 "송강호의 연기는 역시 최고다", "김지운 감독 특유의 스타일리시한 연출이 돋보인다", "스토리 전개가 흥미진진하다", "1970년대 영화계 풍경을 보는 재미가 있다", "액자식 구성이 신선하다" 등의 호평이 있었습니다. 특히 송강호 배우의 몰입도 높은 연기와 김지운 감독의 감각적인 연출에 대한 칭찬이 많았습니다. 또한 1970년대 영화 제작 현장을 생생하게 재현한 미술과 의상, 그리고 독특한 액자식 구성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도 있었습니다. 반면, 부정적 반응으로는 "스토리가 난해하고 복잡하다", "액자식 구성이 오히려 집중도를 떨어뜨린다", "호불호가 갈릴 영화다", "기존 김지운 감독 영화에 비해 아쉽다" 등의 비판도 있었습니다. 일부 관객들은 복잡한 이야기 구조와 꿈과 현실을 넘나드는 전개 방식에 어려움을 느꼈다고 합니다. 또한 액자식 구성이 오히려 영화의 몰입도를 떨어뜨린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평론가들 역시 '거미집'에 대해 상반된 반응을 보였습니다. 먼저 긍정적인 평가로는 "김지운 감독의 새로운 시도가 돋보이는 작품", "배우들의 연기 앙상블이 훌륭하다", "1970년대 영화계의 풍자적인 묘사가 인상적이다", "미장센과 연출이 뛰어나다", "영화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담고 있다" 등 대체로 호평이었습니다. 평론가들은 김지운 감독의 실험적인 시도와 독창적인 연출,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력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또한 1970년대 영화계를 풍자적으로 묘사한 점, 그리고 영화라는 매체 자체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반면 부정적 평가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스토리텔링이 다소 불친절하다", "지나치게 복잡하고 난해하다", "대중성은 부족하다", "김지운 감독의 전작에 비해 완성도가 떨어진다" 등의 날 선 지적들이 있었습니다. 게다가 일부 평론가들은 영화의 난해한 스토리텔링과 복잡한 구조가 대중적인 호응을 얻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또한 김지운 감독의 이전 작품들에 비해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영화 거미집 스틸컷 4
거미집 스틸컷 4

4. 영화 '거미집' 비하인드 스토리

'거미집'은 제작 단계부터 흥미로운 비하인드 스토리를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1) 칸 영화제 8분 만에 기립 박수

2023년 칸 영화제 비경쟁 부문에 초청된 '거미집'은 공식 상영 후 8분 만에 기립 박수를 받으며 화제를 모았습니다. 이는 영화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기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해외 언론과 평단으로부터 "김지운 감독의 최고작 중 하나", "송강호의 마스터클래스" 등 극찬을 받았습니다.

 

2) 송강호, 50대 감독 김열 연기 위해 체중 감량

송강호는 50대 영화감독 김열 역할을 완벽하게 소화하기 위해 체중 감량을 감행했습니다. 그는 캐릭터 분석에 몰두하며 외형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내면적인 모습까지 섬세하게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또한 촬영 현장에서 끊임없이 김지운 감독과 소통하며 캐릭터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연기에 몰입했다고 합니다.

 

3) 1970년대 영화 촬영 세트 완벽 재현 

영화는 1970년대 영화 촬영 현장을 생생하게 재현하기 위해 실제 크기의 세트를 제작했습니다. 미술팀은 당시의 영화 촬영 장비, 소품, 의상 등을 철저하게 고증하여 1970년대 분위기를 완벽하게 담아냈습니다. 특히 영화 속 영화 ‘거미집’의 세트는 1970년대 스튜디오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여 시각적인 풍성함을 더했습니다.

 

4) 정수정, 파격적인 연기 변신 시도

정수정은 '거미집'에서 톱스타 배우 한유림 역을 맡아 기존의 이미지를 벗어난 파격적인 연기 변신을 시도했습니다. 그녀는 화려하면서도 불안한 내면을 가진 톱스타 캐릭터를 완벽하게 소화하며 연기 스펙트럼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특히 감정 기복이 심한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표현하며 관객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5) 영화 속 영화의 제목

영화 속에서 배우들이 연기하는 ‘영화 속 영화’의 제목이 왜 ‘거미집’일까요?라는 질문에 김지운 감독은 “거미집은 미로처럼 복잡하고 출구를 찾기 어려운 공간을 상징한다. 영화 제작 과정 자체가 미로와 같고, 그 안에서 길을 잃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싶었다”라고 밝혔습니다. 즉, ‘거미집’이라는 제목은 영화 제작의 복잡성과 예측 불가능성, 그리고 그 속에서 길을 잃는 인간의 모습을 은유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거미집은 한번 들어가면 빠져나오기 힘든 함정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는 완벽한 영화를 만들겠다는 김감독의 강박적인 욕망이 결국 자신을 함정에 빠뜨리는 상황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영화 거미집 스틸컷 5
거미집 스틸컷 5

5. 영화 '거미집' 개인적인 감상

'거미집'은 한마디로 ‘매혹적인 미로’와 같은 영화였습니다. 복잡하게 얽힌 이야기 구조, 꿈과 현실을 넘나드는 몽환적인 분위기, 그리고 배우들의 열연은 영화를 보는 내내 눈을 뗄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특히 흑백과 컬러 화면의 대비, 액자식 구성 등 김지운 감독 특유의 스타일리시한 연출은 영화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렸습니다. 하지만 영화는 분명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작품입니다. 복잡한 이야기 구조와 난해한 설정은 일부 관객들에게는 불친절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영화가 던지는 질문들이 다소 추상적이고 철학적이어서, 대중적인 재미를 기대하는 관객들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거미집'은 영화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예술적인 실험 정신이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영화 제작 과정의 어려움과 예술가의 고뇌를 독특한 방식으로 풀어낸 점, 그리고 영화라는 매체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점은 '거미집'을 단순한 오락 영화 이상의 의미를 지닌 작품으로 만들어줍니다.

BIG